2025년 달라지는 복지정책
2025년 새롭게 달라지는 복지정책 핵심들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1. 인구변화에 대비한 정책
서울시 전국 최초로 자녀 출산 무주택가구에 주거비 지원 합니다.
서울시는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의 새로운 대책의 하나로 아이가 태어난 무주택가구에 2년간 주거비를 전국 최초로 지원한다고 밝혔다.
전국 최초 `자녀 출산 무주택가구`에 주거비 지원 < 복지 < 서울특별시 (seoul.go.kr)
전국 최초 `자녀 출산 무주택가구`에 주거비 지원
많은 청년들이 학업과 일자리를 위해 서울에서 살다가 결혼과 출산을 고민하는 시기가 되면 서울의 높은 집값 때문에 서울을 떠날 결심을 하게 된다. 서울보다 저렴한 신혼집을 구하거나 아이
news.seoul.go.kr
주거 지원강화 정책으로 공공주책 25.2만 호 공급 및 든든전세 3만 호 신규 공급 등 주거복지 혜택이 확대 된다.
2. 기준중위소득 인상
기준중위소득 인상으로 좀 더 폭넓게 최저생화를 보장 받을 수 있도록 지원 한다.
4인 가구 기준으로 6.42% 인상 한다.
생계급여를 수급할 수 있는 가구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4인 가구 기준으로 월 573만원에서 610만원으로 인상)
3. 기타 복지정책
노인복지 강화 정책으로 노인일자리 역대 최대 수준이 110만 개로 확대 되고, 기초연금액도 2.6% 인상된다. 65세 이상 어르신에게는 근로, 사업소득에 대한 추가 공제가 확대 된다.
의료급여 개선 정책으로 의료 급여 수급자의 건강생활 유지비가 월 6천원에서 12000원으로 확대된다. 부양비도 인하되어 급여 사각지대가 완화된다.
저소득층 초, 중, 고교 학생을 위한 복지정책으로 활동지원비가 늘어납니다.
-초등학생 487000원
-중학생 679000원
-고등학생 768000원
전년 대비 약 5%로 인상 되었습니다.
저소득층을 위한 자산형성 복지정책으로 희망저축계좌로 정부지원금이 10만원->20만원으로 인상됩니다. 지금까지 월 10만원씩 3년간 360만원 저축하면 정부가 360만원 지원해 총 720만원을 만들 수 있었는데, 앞으로는 정부가 720만원을 지원해 3년 후 총 1080만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저소득층 아동 복지정책인 만 18세 이후 자립할 수 있도록 돕는 디딤씨앗통장 가입대상도 확대 됩니다. 한부모 등 차상위 계층도 가입할 수 있도록 대상이 확대 됩니다.